한문 그리고 늦깍기 공부

爲淵驅魚

甘冥堂 2024. 5. 25. 11:24

고사성어 위연구어(爲淵驅魚)
(爲 : 할 위  淵 : 못 연  驅 : 몰 구 魚 : 고기 어)

자신을 위해 한일이 오히려 자신에게 손해가 되는 결말을 맞이했다는 의미.


위연구어(爲淵驅魚) 유래

孟子曰桀紂之失天下也 失其民也
(맹자왈걸주지실천하야 실기민야)
맹자가 말하기를 하나라의 걸왕과 은나라의 주왕이 천하를 잃은 이유는

失其民者  失其心也
(실기민자 실기심야)
그들의 백성을 잃었기 때문이며
백성을 잃었다는 것은 그들의 마음을 잃은 것이다

得天下有道  得其民  斯得天下矣
(득천하유도 득기민 사득천하의)
천하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은 백성들을 얻으면 천하를 얻을 수 있다

得其民有道 得其心  斯得民矣
(득기민유도 득기심 사득민의)
백성들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은 그들의 마음을 얻으면 된다

得其心 有道 所欲 與之聚之
(득기심 유도 소욕 여지취지)
마음을 얻기 위해서는 그들이 원하는 것은 주면되는 것이고
원하지 않는 것은 하지 않으면 그뿐인 것을

所惡 勿施爾也 民之歸仁也 猶水之就下 獸之走壙也
(소오 물시이야 민지귀인야 유수지취하 수지주광야)
그들이 이로운쪽으로 향하는 것은
물이 아래로 흘러가고 짐승이 들판으로 달려가는 그것과도 같다

故 고로

爲淵敺魚者 獺也
(위연구어자 달야)
물고기를 연못으로 몰아가는 것은 수달이고

爲叢敺爵者 鸇也
(위총구작자 전야)
참새를 숲으로 몰아가는 것은 송골매다

爲湯武敺民者 桀與紂也
(위탕무구민자 걸여주야)
탕(湯)왕과 주(周) 무왕(武王)에게 백성을 몰아준 것은 걸왕(桀王)과 주(紂)이다.


고사성어 위연구어(爲淵驅魚)는
맹자(孟子) 이루상(離婁上)의 위연구어장(爲淵驅魚章)에서 유래되었다.

위연구어위총구작(爲淵歐魚爲叢歐雀)이라는 말과 함께 쓰이며
결국은 자신을 위해서 해왔던 일들이 되려 남의 이익으로 돌아간다는
위연구어(爲淵驅魚)와 일맥상통한 의미로 쓰인다.

폭군으로부터 도망친 백성들이 되려 어진 임금에게로 모였다는 이 글은
인간이든 동물이든 결국 이로운 쪽으로 흘러갈 수 밖는 자연의 이치를 말하고자 하는 고사성어다.





3. 위연구어(爲淵驅魚)과 비슷한 고사성어

위연구어위총구작(爲淵歐魚爲叢歐雀)
자신의 이득을 취하고자 한 일이 되려 남의 이익이 되었다는 의미

근자열원자래(近者說遠者來)
인과 의를 행하고 덕을 베풀면 가까이에 있는 사람들은 기뻐하고 먼곳에서도 찾아온다는 의미


'한문 그리고 늦깍기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酌酒與裵迪 /王維  (0) 2024.06.04
순자ㅡ권학편  (0) 2024.05.27
반야심경  (0) 2024.05.23
近墨者黑  (0) 2024.05.22
영원히 작용하는 우주의 섭리를 깨우쳐라  (0) 2024.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