然後(뒤에야) / 陳繼儒(진계유)
靜座然後知 平日之氣浮
고요히 앉아 본 뒤에야
평상시의 마음이 경박했음을 알았네
守默然後知 平日之言燥
침묵을 지킨 뒤에야
지난날의 언어가 소란스러웠음을 알았네
省事然後知 平日之費閒
일을 돌아 본 뒤에야
시간을 무의미하게 보냈음을 알았네
閉戶然後知 平日之交濫
문을 닫아건 뒤에야
앞서의 사귐이 지나쳤음을 알았네
寡慾然後知 平日之病多
욕심을 줄인 뒤에야
이전의 잘못이 많았음을 알았네
近情然後知 平日之念刻
마음을 쏟은 뒤에야
평소의 마음씀이 각박했음을 알았네
진계유(陳繼儒, 1558년 ~ 1639년)는 중국 명나라의 서예가, 화가로
자는 중순(仲醇), 호는 미공(眉公)이며 송강부 화정현(松江府 華亭縣, 현재의 상하이시 쑹장구) 출신이다.
시(詩)ㆍ문(文)ㆍ서(書)ㆍ화(畫)에 모두 뛰어났으며 소식, 미불의 서체를 계승했다.
29세에 의관을 불태우고 풍류와 문필 생활에 전념하면서 일생을 보내며 생을 마감하였으며
생전에는 동기창의 절친이기도 했다. 저서에 《미공전집》이 있다.
진계유(陳繼儒·1558~1639)의 ‘眉公十部集’(미공십부집)에 이런 구절도 있다.
我本薄德人, 宜行積德事.
我本薄福人, 宜行惜福事.·
(아본박덕인, 의행적덕사.
아본박복인, 의행석복사.)
나는 본래 박덕한 사람이니, 마땅히 덕 쌓을 일을 해야겠지.
나는 본래 박복한 사람이니, 마땅히 복 아낄 일 해야겠지.
사람마다 타고난 팔자(?)가 다르다.
다른 사람보다 타고난 덕이 부족하다고 치자.
지혜롭지 못한 사람은 “남들보다 타고난 덕이 부족하니, 대충 살면 되리라”며, 별 노력하지 않는다.
지혜로운 사람은 “남들보다 덕이 부족하니, 열심히 노력해 덕을 쌓는 일을 많이 하리라”며
더 부지런하게 살며 덕을 쌓는다.
복도 마찬가지 이치다.
타고난 복이 부족하면 그 복이 다 없어지지 않도록 아껴가며 살아야 한다.
‘석복(惜福)’은 복을 아낀다는 뜻이다. 옛사람은 복을 다 누리지 않고 아껴 다른 이들과 나눴다.
대부분 사람은 복을 덜어 아껴 나누며 살아가는 게 쉽지 않다.
陳繼儒 명언
• “빈곤함은 부끄러워할 만한 일이 아니지만
빈곤하면서 포부까지 없다면 그것이야말로 부끄러운 일이다.
비천한 것은 싫어할 만한 일이 아니지만
비천하면서 능력마저 없다면 그것이야말로 싫어할 만한 일이다.
나이를 먹는 것은 탄식할 만한 일이 아니지만
나이를 먹었으나 이루어놓은 것이 없다면 그것이야말로 탄식할 만한 일이다.
죽는 것은 슬퍼할 만한 일이 아니지만
죽으면서도 세상에 보탬이 된 것이 없다면 그것이야말로 슬퍼할 만한 일이다.
貧不足羞 可羞是貧而無志
賤不足惡 可惡是賤而無能
老不足歎 可歎是老而虛生
死不足悲 可悲是死而無補]” 〈권(卷)1 성(醒) 1.160〉
• “선비는 가난하여 물질적으로 남을 구제할 수는 없으나,
어리석어 헤매는 경우를 만나면 말 한마디로 깨우치고,
위급하여 곤란을 겪는 경우를 만나면 말 한마디로 도와줄 수 있으니
이 또한 한없이 큰 덕행이다.
士君子貧不能濟物者
過人痴迷處 出一言提醒之
遇人急難處 出一言解救之
亦是無量功德]” 〈권(卷)4 영(靈) 4.128〉
• “밤은 하루 중에서 여유로운 시간이고,
비 오는 날은 한 달 중에서 여유로운 날이며,
겨울은 일 년 중에서 여유로운 계절이다.
이 세 가지 여유로운 때에는 인간사가 매우 드무니
참으로 온 마음을 쏟아 학문을 닦아야 한다.
夜者日之餘
雨者月之餘
冬者歲之餘
當此三餘 人事稍疏
正可一意問學]” 〈권(卷)4 영(靈) 4.122〉
색인어:진계유(陳繼儒), 청언소품(淸言小品), 소창유기(小窓幽記), 취고당검소(醉古堂劍掃)
'세상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모르파티 (0) | 2024.05.30 |
---|---|
성심당 빵집 (0) | 2024.05.30 |
人生三樂 (0) | 2024.05.29 |
‘여든’ 나태주 시인의 봄볕 같은 고백 (0) | 2024.05.29 |
일본인에게 배워야 할 25가지 (0) | 2024.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