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1. 夜上受降城聞笛 / 李益
밤에 수항성에 올라 피리소리 듣다
回樂峯前沙似雪 (회락봉전사사설) 회락봉 앞 사막은 눈과 같고
受降城外月如霜 (수항성외월여상) 수항성 밖 달빛은 서리 같다.
不知何處吹蘆管 (부지하처취노관) 어디에서 갈대 피리 부는지 모르는데
一夜征人盡望鄉 (일야정인진망향) 밤새도록 수자리 병사들 모두 고향을 바라본다.
受降城(수항성):당 中宗 景龍 2년(708), 朔方軍 총관 張仁愿(장인원)이 돌궐로 출격하기 위하여 황하 이북에,
東西中 3개의 수항성을 축성했다. 여기서는 서쪽 성, 지금의 寧夏 영무에 있다.
回樂峯(회락봉):회락성 부근의 산봉우리를 가리킨다. 회락성 유적은 지금의 녕하 영무 서남쪽에 있다.
어떤 작품에서는 “回樂烽"이라고 한다.
蘆管(노관):갈대의 잎으로 만든 피리.
征人(정인):원정 나간 병사를 가리킨다.
【해설】이 시는 변방 수자리 병사의 향수의 정을 쓴 명작이다.
시의 필법은 간단하고 깨끗하며 정취가 깊으며, 일찍이 관현악보에 기입되어 천하에
唱으로 전해진다. 시가의 앞 두 구는 한 폭의 달밤의 독특한 풍경을 묘사하고 있다.
또한 시는 有色有聲有情을 그리고 있다. 봉화대. 사막. 고성. 월색은 수자리 병사의
고향생각의 전형적 환경이며, 눈물 같기도 하고 호소 같기도 한 피리소리는 더욱
병사들로 하여금 무한한 고향생각을 불러일으킨다.
'새로운 해석 당시삼백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73. 春詞 / 劉禹錫 (0) | 2024.07.31 |
---|---|
272. 烏衣巷 / 劉禹錫 (0) | 2024.07.31 |
270. 宫詞 / 顧况 (0) | 2024.07.30 |
269. 征人怨 / 柳中庸 (0) | 2024.07.30 |
268. 春怨 / 劉方平 (0) | 2024.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