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창작론 시 창작론 2. 1. 시란 무엇인가 동양에서의 시- 시경. 순임금. 남공철(정에 감응) 이규보(뜻을 위주) 유몽인(풍속의교화) 이한(文載道論) 서양에서의 시 - 감정의 분출(위즈워드) 운율적 창조(포) 가르치고 즐거움(시드니) 2.시창작의 직접적인 과정--- 진실-발상- 전개. 발상 이전 단계- 기초 .. 학술.논문류 2014.06.13
문화통합론과 북한문학 문화통합 5단계 배타적 고립기 해방~1984 해빙기 85~89. 특별선언. 고향방문. 예술교환 합의 실용적접촉기 90~97 상호체제 과시기 남북한 문화교류 5원칙 정서적교감기 98~2000 김대중 햇볕. 평양공연 북한영화 수입 친화적접근기 2000.6~ 윤도현, 이미자 방북. 작가와 작품을 중심으로 불멸의 역.. 학술.논문류 2014.06.12
고전의 가치와 잡지 『문장』파 근대예술가들의 지향점 제목: 고전의 가치와 잡지 『문장』파 근대예술가들의 지향점 -월북 작가 정지용 시인의 활동상을 중심으로. Ⅰ.서론 잡지『문장』의 위상은 한국문학사에서 매우 높다. 그 이유는 1940년대 초 일본 군국주의의 물결이 한반도의 파고를 넘어 아시아와 세계로 넘실거릴 때 풍전등화와도 같.. 학술.논문류 2014.06.06
국어사의 시대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에 대하여 국어사의 시대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에 대하여 Ⅰ.서론 국어의 역사를 연구하는 목적은 무엇인가? 첫째. 우리 민족의 역사 전체에서 볼 때 우리는 오랜 역사를 통하여 국어로 서로 의사를 소통하면서 하루하루의 생활을 영위하였고 국어로 사색하고 고민하였다. 따라서 국어.. 학술.논문류 2014.05.30
민담 「해님 달님」과 「달래 고개」에 대한 분석 설화 중 민담 2편을 선택하고 각 민담이 갖는 의미에 관하여 Ⅰ.들어가며 민담(民譚)이란 무엇인가? 신화·전설·동화 등을 총괄하여 이르는 말로 구술(口述:口碑, 口傳)문학 또는 민속문학이라고 불리고 있는 작품들 가운데서 산문 서사문학(散文敍事文學)의 테두리에 드는 것을 통틀어 .. 학술.논문류 2014.05.30
시창작론 1. 시 창작론 1 1.詩作 동기에 대해 두 가지로 나누고 이에 대해 서술하시오. 시작 동기란 시를 쓰는 이유를 뜻하는 말이다. 시작 동기는 시인이 시상을 어떻게 찾는지를 보여준다. 시상을 찾는 데에는 현실적인 동기가 우선할 수 있고, 시인의 관념, 즉 사상이나 정서를 우선할 수도 있다. 현.. 학술.논문류 2014.04.10
소리와 발음 소리와 발음 ( ) 넣기 [예시] 공명음, 무성음. 최소대립쌍. 음소. 변이음. 상보적 분포. 음절. 축약. 국제음성기호, 유성음. 조음 기관, 자음. 활음. 장애음. 이중모음. 음소. 대치. 변별적 자질. 단모음. 배타적분포. 모음. 자음 1.음운론에서 다루는 말소리의 약속 중에 홀로 발음될 수 있는 단.. 학술.논문류 2014.04.10
한국 근현대문학사 한국 근현대문학사 제2부 한국 근현대 시사 개화기 시가 동학사상의 전파와 구국에 대한 갈망 동학-수운 최재우는 사람을 하늘같이 섬긴다는 人乃天사상. 동학 창시. 동학가사-용담유사-용담에서 시작하여 제삼불이로 끝남. 순 한글. 4.4조 가사체. 사회의 혁명적 변화와 종교적 수행. 검.. 학술.논문류 2013.12.16
현대시론 요약 현대 시론 1강. 시를 바라보는 관점. poem. 시 형식. 구체적 작품. poetry : 시 장르. 시 정신(내용) M.H.에이브럼즈; 시를 바라보는 관점 표현론: 작가. 시인의 내면세계. 의식 사상. -워즈워즈. 밀 모방론: 세계. 작품이 담고 있는 세계. 시인이 시 속에서 표현해낸 내용일체. -아리스토텔레스 효용.. 학술.논문류 2013.12.08
일본대중문화론-현대일본만화 제목: 현대 일본만화에 대하여 「이것이 일본 만화다」를 중심으로 차례 Ⅰ.들어가는 말 Ⅱ.일본인과 일본 만화 Ⅲ. 새천년을 맞는 현대 일본의 만화 Ⅳ. 논의의 의의와 한계 Ⅴ. 나가는 말 Ⅰ.들어가는 말 만화란 한자의 뜻 그대로 ‘자유분방한 필치로 그려진 그림’으로 칸과 칸으로 이.. 학술.논문류 2013.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