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편단심 민들레 이야기'
민들레는 밟혀도 밟혀도 끈질긴 자생력으로 찬란한 꽃을 피우는 야생화이다.
민들레의 근성(根性)은 일편단심(一片丹心)이다.
이 꽃은 큰 뿌리 하나를 곧게 땅속 깊게 내리고 옆으로 실뿌리가 뻗어 있으나 가늘고 빈약하다.
그러나 큰 뿌리 하나가 땅속 깊게 뿌리를 내림으로써
바람에 흔들려도 쉽게 쓰러지지 않도록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조용필은 1981년 ‘일편단심 민들레야'를 발표했다.
그런데 이 노래의 작사자가 ‘이주현’이라는 여성이다.
당시(1981년) 72세의 이 여사는 납북된 남편을 그리워하며 쓴 자전적인 이야기를 신문에 투고(投稿)했는데
이를 본 조용필이 가사로 만들 것을 제안하여 노래로 탄생한 것이다.
그녀의 사연은 이랬다.
50년 전 그녀는 동아일보 국장이던 남편과 결혼했다.
그러나 남편이 한국전쟁 때 납북되는 바람에 홀로 3남매를 키우며 살았다.
노점 좌판 등을 하며 어렵사리 살아온 그녀는 평생 모은 돈을
남편이 다닌 동아일보에 기부해서 남편 이름을 붙인 <수남 장학금> 을만들었다.
1981년 4월 28일 경향신문에 실린 기사 '햇빛 본 할머니의 꿈'은
이주현 여사의 일편단심 이야기를 기록하고 있다.
“수남(水南)! 이렇게 불러볼 날도 이제 오래지 않겠지요.
어언 접어든 나이가 고희 (古稀)를 넘겼으니 살아갈 날이 얼마나 되리까.
당신을 잃은 지도 30년 성상,
밟혀도 밟혀도 고개를 쳐드는 민들레같이 살아온 세월,
몇 번씩이나 지치고 힘에 부쳐 쓰러질 듯하면서도 그때마다 당신을 생각하며 이겨왔어요!.”
이 여사는 노구(老軀)를 무릅쓰고 1년에 걸쳐 집필한 원고 1천여 장 분량의
'일편단심 민들레야'의 첫머리에
생사를 알 길 없는 남편에 대한 사무치는 그리움을 이렇게 적고 있다.
“내가 아무리 끈질긴 생명력의 민들레라 해도
일편단심 붉은 정열이 내게 없었다면 어린 자식들을 못 키웠을 것이고,
지아비에 대한 깊은 그리움의 정(情)이 없었다면
붓대를 들 용기도 내지 못했을 것이다”
이런 자전(自傳)의 내용을 다듬어서 쓴 노랫말 가사는 이렇다.
『님 주신 밤에 씨 뿌렸네.
사랑의 물로 꽃을 피웠네.
처음 만나 맺은 마음
일편단심 민들레야
그 여름 어인 광풍
그 여름 어인 광풍
낙엽 지듯 가시었나.
행복했던 장미 인생
비바람에 꺾이니 나는
한 떨기 슬픈 민들레야
긴 세월 하루같이 하늘만 쳐다보니
그이의 목소리는 어디에서 들을까,
일편단심 민들레는 일편단심 민들레는
떠나지 않으리라.』
노래 중 ‘그 여름의 광풍 (狂風)'은 1950년 6월 25일에 터진 청천벽력 같은 전쟁을 가리키는 말이었고
‘낙엽 지듯 가시었나'는
그해 가을 납북된 남편을 가리키는 것이었다.
'하늘만 바라보는 것'은 천국에 간 남편을 바라보며 그리워함이고
‘어디에서도 들을 수 없는 그 목소리'는 남편이 떠나면서
"걱정하지 마, 잘 다녀올게!"라고 말했던 그 목소리였다.
남편 납북(拉北) 시에 41세 여인은 그 험한 세상을 이겨냈다.
조용필의
일편단심 민들레야.
즐겨 부르는 노래다.
'세상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한국 거리에선 장애인을 보기가 힘든가요? (1) | 2024.05.28 |
---|---|
리버스(reverse) 멘토링 (0) | 2024.05.28 |
소주병 (0) | 2024.05.28 |
狄仁傑(적인걸) (0) | 2024.05.27 |
어떤 묘비의 글 (0) | 2024.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