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5.靑梅竹馬 연인이나 부부가 어릴 때부터 사이좋게 지낸 관계를 비유
(푸를 청, 매화 매, 대 죽, 말 마)
李白(이백)의 시는 상상력이 풍부하고 풍격이 호방하며, 한 가지 방식과 규칙에만 구애받지 않았다.
사람들이 일찍이 그는 하늘나라 신선이 인간 세상에 귀양살이 하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
그의 작품 중, 남녀가 어렸을 때 서로 마음이 맞아 장난치는 정경을 묘사한 한 수의 시가 있는데,
그중 두 구절에:
郎騎竹馬來(낭기죽마래) 낭군께서 죽마를 타고 와서는
遶牀弄靑梅(요상농청매) 침상을 뱅뱅 돌며 푸른 매실로 장난쳤지요
“靑梅竹馬” 이 구절이 성어가 되었는데, 이 시에서 나온 것이다.
의미는 어린아이들이 함께 모여 가끔 싸움이 일어나기도하고, 말다툼도 하는 등의 일을 말하는 것이다.
▶靑梅竹馬 [청매죽마] 연인이나 부부가 어릴 때부터 사이좋게 지낸 관계를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李白 [LǐBái] [명사][역사] 이백(701〜762년). [당(唐)대의 저명한 시인] 〓[李太白(LǐTàibái)]
▶不拘一格 [bùjūyìgé] [성어] 한 가지 방식과 규칙에만 구애받지 않다
▶谪居 [zhéjū] [동사][문어] 귀양살이를 하다. 적거하다.
▶投契 [tóuqì] [동사] 의기가 투합하다. 마음이 맞다. 배짱이 맞다. 견해가 일치하다.
▶打架 [dǎjià] [동사] (때리며) 싸우다. 다투다.
▶争吵 [zhēngchǎo] [동사] 말다툼하다. 큰 소리로 언쟁하다.
☞중국 당나라의 시인 이백이 지은 오언고시(五言古詩) 형식의 <장간행>은 장사를 하러 먼 길을 떠난 남편을 그리워하는 부인의 노래이다.
30구로 이루어진 이 시는 이렇게 시작된다.
妾髮初覆額(첩발초복액) 첩의 머리가 처음 이마를 덮었을 때
折花門前劇(절화문전극) 꽃 꺾으며 문 앞에서 놀고 있었지요.
郎騎竹馬來(낭기죽마래) 낭군께서 죽마를 타고 와서는
遶牀弄靑梅(요상농청매) 침상을 뱅뱅 돌며 푸른 매실로 장난쳤지요
同居長干里(동거장간행) 장간 마을에서 함께 살면서
兩小無嫌猜(양소무혐시) 두 아이는 스스럼이 없었지요.
이들 부부는 장간(長干)이라는 마을에 함께 살면서 부인이 태어나서 처음 머리가 이마를 덮을 때인 어린 시절부터 죽마를 타고 푸른 매실로
장난을 치며 소꿉친구로 자라다가 부부의 인연을 맺었다.
여기서 유래하여 청매죽마는 남녀 어린아이들이 사이가 좋음을 이르거나 연인 또는 부부가 어릴 때부터 사이좋게 지낸 관계를 비유하는
고사성어로 사용된다. (두산백과)
'中國成語300則' 카테고리의 다른 글
罄竹難書 대나무를 다 써도 저지른 죄가 많아 이루 다 쓸 수 없다. (0) | 2017.08.25 |
---|---|
請君入瓮 그대는 독안으로 들어가시게 (0) | 2017.08.23 |
巧奪天工 인공의 정교함이 천연(天然)적인 것을 능가하다. (0) | 2017.08.22 |
潜移默化 무의식중에 감화되다. (0) | 2017.08.21 |
黔驴技窮 얼마 안 되는 재주도 다 써 버리다 (0) | 2017.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