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8. 除夜書懷 / 崔塗
제야의 회포
迢逓三巴路 (초체삼파로) 멀고도 먼 삼파의 길.
覉危萬里身 (기위만리신) 힘들고 위험하게 만 리 밖에 유랑하는 몸.
亂山殘雪夜 (난산잔설야) 어지러이 솟은 산에 잔설이 하얀 밤,
孤燭異鄉人 (고촉이향인) 외로운 촛불 아래 타향 사람.
漸與骨肉逺 (점여골육원) 혈육들과 점점 더 멀어지고,
轉於僮僕親 (전어동복친) 하인들과는 도리어 친하게 되었네.
那堪正漂泊 (나감정표박) 어떻게 견디랴, 때마침 유랑 중에
明日嵗華新 (명일세화신) 내일 아침이면 새해가 되는 것을.
除夜(제야):除夕之夜. 섣달 그믐날 밤.
이 시의 한 제목은<巴山道中除夜書懷; 파산 길에서 제야에 회포를 적다>로 되어 있다.
迢逓(초체):매우 멀다.
三巴(삼파):옛날에는 巴郡, 巴東, 巴西를 삼파라 칭했다. 지금의 사천 동부에 있다.
覉危(기위):떠돌아다니며 힘들고 위험하게 살다. 촉으로 가는 위험한 길은 유랑하는 것을 뜻함.
僮僕(동복):하인. 종.
那堪(나감):어찌 견디랴. 게다가. 正(정):한창. 때마침.
漂泊(표박):떠돌아다니다.
嵗華(세화):세월. 이 구절은 내일이 바로 신년이 됨을 의미한다.
【해설】이 시는 먼저 섣달 그믐날 밤에, 여행 중에 감회를 적은 시다.
수련은 点地에서 点人으로 바로 對句한 것이 기상이 넓고 크다.
함련에서는 섣달 그믐밤에 타향에서의 고독과,
경련에서는 친지권속은 멀리 떨어지고, 하인들이 지친이 된 것을 썼다.
다시 “獨”자를 부각시켰다.
미련에서는 그믐날에 유랑생활은 더욱 감내하기 어렵고, 향수에 젖은 것을 남김없이 털어놓는다.
[작자] 崔塗((최도)생졸년 불상 (854~?). 자 禮山. 睦州 桐盧(동노: 지금 절강에 속해 있다)사람.
光啓4년 (888) 진사가 되었다. 집안이 곤궁하여 일생을 사방으로 표박하여,
그로 인해 그의 시에는 나그네 되어 유랑하고 떠남을 원망하는 작품들이 많다.
<全唐詩>에 시 1권이 있다.
'새로운 해석 당시삼백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0. 春宫怨 / 杜荀鶴 (1) | 2024.07.08 |
---|---|
159. 孤鴈 / 崔塗 (0) | 2024.07.08 |
157. 書邊事 / 張喬 (0) | 2024.07.08 |
156. 楚江懷古 / 馬戴 (1) | 2024.07.08 |
155. 灞上秋居 / 馬戴 (0) | 2024.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