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賦得古原草送別 / 白居易 고원초 송별 離離原上草 (이리원상초) 무성한 언덕위의 야초 一歲一枯榮 (일세일고영) 일 년에 한번씩 시들다가 무성해진다. 野火燒不盡 (야화소부진) 들불로도 다 타지 않고 春風吹又生 (춘풍취우생) 춘풍이 불어오니 다시 생긴다. 遠芳侵古道 (원방침고도) 향기로운 풀은 멀리 옛길을 덮고 晴翠接荒城 (청취접황성) 비취색 푸르름이 황량한 성에 잇대어 있네 又送王孫去 (우송왕손거) 또 친구를 송별하여 보내는데 萋萋滿別情 (처처만별정) 이별의 정이 우거지듯 가득하다. 【注釋】 ⑴赋得:옛사람의 시구나 성어를 차용하여 작시의 제목으로 했다. 시제 앞에 일반적으로“赋得”二字를 앞에 덧붙였다. ⑵离离:청초가 무성한 모습. ⑶王孫:본래 귀족의 후대를 가리켰으나 여기서는 먼 곳에 있는 친구를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