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해석 당시삼백수

147. 秋日赴阙題潼闗驛樓 / 許渾

甘冥堂 2024. 7. 5. 07:07

147. 秋日赴阙題潼闗驛樓 / 許渾

가을날 궁궐로 가다가 동관 역루에 쓴다

 

紅葉晚蕭蕭 (홍엽만소소) 붉은 잎 우수수 떨어지는 저녁 무렵에

長亭酒一瓢 (장정주일표) 역참에서 한 바가지 술을 마신다.

殘雲歸太華 (잔운귀태화) 몇 조각구름은 태화산으로 돌아가고

疎雨過中條 (소우과중조) 드물게 내리는 비는 중조산을 지나간다.

樹色隨關迥 (수색수관형) 나무들은 멀리 동관을 따라 멀리 이어지고

河聲入海遥 (하성입해요) 강물 소리는 바다로 들어가며 사라져 간다.

帝鄉明日到 (제향명일도) 황제가 사는 곳 내일이면 닿는데

猶自夢漁樵 (유자몽어초) 여전히 고기 잡고 나무하는 꿈을 꾸고 있다.

 

 

()궁문 앞의 망루. 여기서는 도성 장안을 대신한다.

()쓰다. 건물의 벽이나 기둥에 시를 써 놓는 것을 말한다.

潼闗(동관)지금의 섬서 동관현.

驛樓(역루)역참.

長亭(장정)길가의 정자를 말한다. 옛날에는 큰길가 10리마다 한 개의 정자를 세우고,

5리에 작은 쉼터를 만들어 나그네들의 휴게소가 되었고, 또 이것은 역참과 같은 곳에 있었다.

()옛 사람들은 아침이면 구름이 산에서 나오고 저녁이면 산으로 돌아간다고 생각했다.

 

太華(태화)지금의 섬서성 영제현에 있는 일명 中條(중조). 태행산과 화산 중간에 있다.

隨關(수관)동관현에 있는 관문, 즉 동관 앞의 길 양쪽에 가로수가 늘어서 있는데

동관이 먼만큼 가로수도 아득히 멀리까지 이어져 있다는 말이다.

멀 형.

河聲(하성)강물이 흘러가며 내는 소리. 동관은 황하 옆에 있기 때문에 황하를 가리킨다.

帝鄉(제향)도성 장안.

猶自(유자)여전히.

漁樵(어초)고기 잡고 땔나무 함. 은거생활.

 

 

해설이 시는 동관으로 부터 장안에 도착하는데, 역참에서 잠을 자며 벽에다 쓴 시문이다.

시문 중에 비록 宿"자는 없지만 오히려 자구 중에 밤에 역참에서 잠을 잔 것이 뚜렷이 나타나 있다.

가을 산에 비 지나가고 사방을 둘러보니, 触景生情(촉경생정) 어떤 정경을 접하여 감정이 일어난다.

 

함연에서는 동관의 산천 기세가 크고 창망함을 썼고. 경련에서는 보고들은 바를 썼으며,

가까운 곳으로부터 먼 곳으로 끝이 없이 무한하다. 대련이 조탁한 바 없이 자연스럽다.

미련에서는 장안으로 선발되어 부임하는데 결코 원하는 바가 아닌 것이 완곡하게 함축되어 있다.

 

 

[작자] 許渾(허혼: 생졸년 불상), 用晦. 연주 丹陽(지금의 강소성)사람이다.

대화 6(832) 진사가 되어 涂令(도령)이 되었고, 후에 감찰어사 윤주사마 목주, 영주자사를 지냈다.

허혼은 律詩(율시)를 많이 지었으며 7언율시를 특히 잘했다.

'새로운 해석 당시삼백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9. 蟬 / 李商隐  (0) 2024.07.05
148. 早秋 / 許渾  (1) 2024.07.05
146. 旅宿 / 杜牧  (1) 2024.07.05
145. 草 / 白居易  (0) 2024.06.29
144. 没蕃故人 / 張籍  (0) 2024.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