唐詩 300首 飜譯

石鼓歌/ 韓愈 117

甘冥堂 2012. 11. 17. 21:58

石鼓歌 / 한유 

                           석고의 노래

 

張生手持石鼓文,    장생이 손에 석고문을 들고 와서는,

勸我試作石鼓歌.    나에게 석고가를 한번 지어 보라고 권한다.

少陵無人謫仙死,    두보 이백이 죽고 없으니,

才薄將奈石鼔何.    재능은 얇은데 어찌 석고를 노래하리.

周綱凌遲四海沸,    주나라 기강이 쇠하고 패해 사해가 들끓으니,

宣王憤起揮天戈.     선왕께서 분기하여 하늘의 창을 휘둘렀다.

大開明堂受朝賀,     명당을 크게 열어 하례를 받으니,

諸侯劍佩鳴相磨.     제후들의 검패는 서로 부딪쳐 소리를 냈다.

蒐于岐陽騁雄俊,     기양에서 수렵하며 뛰어난 인재 달리게 하니,

萬里禽獸皆遮羅.     만리 금수들 모두 포위하여 잡는다.

鐫功勒成告萬世,     공훈을 돌에 새겨 만세에 고하려고,

鑿石作鼔隳嵯峨.     돌을 갈아 북 만들려고 높고 험한 곳을 허문다.

從臣才藝咸第一,     신하들 예술적 재능 모두 제일이라,

簡選譔刻留山阿.     가려 선택하여 돌에 새겨 산 언덕에  남겼다.

雨淋日炙野火燒,     비에 젖고 해에 타고 들불에 태워졌어도,

鬼物守护煩撝訶.     귀물이 수호하고  휘드르고 꾸짖기를 번거로이 했다.

公從何處得紙本,     장생은 어디에서 이 탁본을 얻었는지,

毫髪盡偹無差訛.     아주 작은 것이라도 다 갖춰져 어긋남이 없었다.

辭嚴義宻讀難曉,     이치가 엄밀하고 뜻이 깊어 읽어도 알기 어려웠고,

字體不類隶與蝌.     글씨체도 예서나 과두문 같지 않았다.

年深豈免有缺畫,     오래되었으니 어찌 빠진 획이 어찌 없으랴,

快劍砍斷生蛟鼉.     빠른 검으로 산 교룡과 악어를 잘라버린 듯 하다.

鸞翔鳳翥衆仙下,     용이 날고 봉황이 춤추는듯 뭇 신선들 내려오는 듯,

珊瑚碧樹交枝柯.     산호와 벽옥나무의 가지와 줄기가 얽힌 듯 하다. 

金繩鐵索鏁紐壯,     황금 밧줄 쇠사슬로 단단히 묶은 듯,

古鼎躍水龍騰梭.     옛날 솥이 물에서 뛰어오르고 용이 베틀북에서 솟아오르듯 하다.

陋儒編詩不收入,     식견 좁은 학자가 시경을 엮을 때 수록하지 못하여,

二雅褊迫無委蛇.     대아 소아 편협하여 장엄하고 여유가 없다.

孔子西行不到秦,     공자가 서쪽으로 가실 때 진나라까지 가지 못해,

掎摭星宿遺羲娥.     별들만 끌어모아 놓고 해와 달은 버렸다.

嗟予好古生苦晚,     아, 나는 옛 것을 좋아하건만 늦게 태어나,

對此涕泪雙滂沱.    이것을 대하니 두 줄기 눈물이 흘러 넘쳐 흐른다.

憶昔初蒙博士徴,     처음 박사로 부름을 받은 지난일 생각하니 ,

其年始改稱元和.    그 해에 처음으로 원화라 고쳐 불렀다.

故人從軍在右輔,     친구가 종군하여 우보에 있었는데,

為我量度掘臼科.     나를 위하여 측량하여 구덩이를 파 주었다.

濯冠沐浴告祭酒,     관을 씻고 목욕하고 제주께 고하니,

如此至寶存豈多?    이와 같은 지극한 보배 어찌 이리 많은가?

氊包席裹可立致,     전포와 자루에 싸면 즉시 옮길 수 있으니,

十鼓只載數駱駝.     북 열개는 낙타 몇 마리면 실을 수 있습니다.

荐諸太廟比郜鼎,     태묘에 바치는 건 고정솥에 비할 수 있지만,

光價豈止百倍過?    영광과 가치가 어찌 백배를 넘는데 그치겠습니까?

聖恩若許留太學,     황제의 성은으로 이것이 태학에 머물게 허락된다면,

諸生講解得切瑳.     여러 유생들이 해석하여 절차탁마 되어.

觀經洪都尚填咽,     석경을 보느라 홍도문에 많은 사람 몰려들어,

坐見舉國來奔波.     앉아서 나라 전체가 분주하게 됨을 보게 될 것입니다.

剜苔剔蘚露節角,     이끼를 벗기고 파 내어 마디와 모서리를 나타나게 하고,

安置妥貼平不頗.     바르게 안치하고 치우치지 않게 평평하게 하고.

大厦深簷與盖覆,     큰 건물의 깊은 처마로 덮개하면,

經歴久逺期無他.    오래 세월 지나도 뜻밖의 일은 없을 것입니다.

中朝大官老於事,     조정의 대관님들 세상 일 노련한데, 

詎肯感激徒媕娿.     감격하려 하지 않고 공연히 머뭇거렸다.

牧童敲火牛礪角,     목동이 두드려 불 붙이고 소들이 뿔을 갈면,

誰敢着手為摩挲.     누가 감히 손을 대어 어루만질까?

日銷月鑠就埋没,     해가 녹이고 달이 녹여 매몰되고 말 것을,

六年西頋空吟哦.     여섯 해 세월 서쪽을 돌아보며 부질없이 애태웠네.

羲之俗書趂姿媚,     왕희지 속된 예서체는 아름다움 자체를 추구하여,

數紙尚可博白鵝.     몇장의 종이로도 흰 거위와 바꿀 수 있었다.

繼周八代争戰罷,     주대에 이어 팔대에 거치며 전쟁도 끝났는데,

無人收拾理則那?    수습하는 이 없으니 이를 어쩌나?

方今太平幸無事,     바야흐로 지금 태평 무사하니.

柄用儒術崇丘軻.     국정을 유학으로 하고 공맹지학을 숭상한다.

安能以此上論列,     어떻게 하면 이것을 가지고 의론에 부칠 수 있을까.

願借辯口如懸河.     말 잘하기 청산유수같은 이의 입을 빌리고 싶다.

石鼓之歌止于此,     석고의 노래 여기에서 그치니,

嗚呼吾意其蹉跎.     아아, 내 뜻은 장차 허송세월이 되겠구나.

 

 

이 시는 원화 6년(811)에 지었다. 석고문은 중국 최고의 석각으로 진대에 만들어졌다. 내용은 수렵의 정황을 기술하였고 문자는 전서로

쓰여있다. 한유는 周 선왕 시에 만들어진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것은 지금 북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두보, 위응물, 소식 모두

석고의 시편을 읊었지만 두보의 시를 제일로 친다.  

 

張生: 장철을 이른다.  少陵: 두보,  謫仙: 이백의 호,  周綱: 주나라의 정치 통치. 凌遲: 쇠하고 패함.  揮天戈: 주 선왕이 회이. 엄윤을

정벌한 일.  蒐: 수렵. 岐陽: 기양 땅. 蒐于岐陽: 천자가 기양에서 수렵하다. 한유는, 석고문은 주 선왕이 기양에서 수렵한 일을 기록한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遮羅: 포위하여 잡다.  鐫功勒成(전공륵성): 공업을 돌위에 새기는 뜻. 隳: hui.휴.  훼손하고 허무는 것. 嵯峨

(차아): 높고 험한 모습. 이 구는 고산석을 허물어 석고를 만드는 뜻. 山阿: 산 구릉을 이름.  撝訶:(도울 위, 꾸짖을 하) 보호하고

질타하다. 

 

公: 장생.  紙本(지본): 탁본. 差訛(차와): 잘못된 곳. 隶: 예서  蝌: 올챙이 과.글자모양이 올챙이 모양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진대에 전서를 사용하면서 그 이전의 경전을 모두 불태워 버려 더 이상 고문을 볼 수 없게 되었는데 노 공왕 때 공자의 집에서 옛날

문헌이 발견되자 거기에 적힌 문자가 古文인줄 모르고 이것을 蝌蚪書라 불렀다.  

 

砍斷:쪼갤 감. 잘라내다. 生蛟鼉: 산 교룡과 악어(타)  鸞(난새 난)翔鳳翥(날 저): 용이 날고 봉황이 춤추는.  委蛇: 장엄하고 여유가 있는

모습.掎摭:(당길기, 주울 척). 채취하다. 羲: 복희 씨. 이것을 빌어 태양이라 하였다.  娥: 상아. 고대 신화에 상아가 불사약을 훔쳐먹고

달나라로 도망쳤다. 이것을 빌어 달빛이라 하였다. 이 두 句는 공자가 진 나라에 도달하지 못하여 석고문을 보지 못한 고로 시경을

편할 때 놓쳐 버렸다. 이것이 바로 성신은 취하여으나 일월을 놓쳐버린 모양과 같다.

 

元和: 원화 원년(806), 한유는 征召가 되어 國子박사가 되었다.  從軍在右輔: 절도부 종사.  量度: 설계. 掘臼科: 갱혈, 석고가 묻혀 있는

곳.  郜鼎:석고문을 고 나라 솥 만든 것에 비교하다.  觀經: 한 나라 영제 4년(175년) 6경 문자를 정하여 돌에 새겨 태학문 밖에 세워

천하 학자가 모두 와서 보고 쓰게하여 정본이 되게 하였다. 洪都: 한 영제 광화 원년(178) 홍도문 학사를 설치하니, 홍도문은 나라의

도서를 보관하는 곳이 되었다.  이 두 건은 모두 영제 때의 일로써 한유가 함께 그것을 읊은 것이다.   填咽: 한데 모여 막힘.

六年: 한유가 원화 원년에 박사 때에 제의하여, 시를 지을 때까지 이미 6년이 지났다.  其: 將.   蹉跎: 虛度歲月, 허송세월하다.

(p.117)

 

'唐詩 300首 飜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琵琶行并序 / 白居易   (0) 2012.12.26
漁翁 / 桞宗元   (0) 2012.11.18
謁衡嶽廟遂宿嶽寺題門樓/ 韓愈  (0) 2012.10.13
八月十五夜贈張功曹 / 韓愈  (0) 2012.10.07
山石 / 韓愈   (0) 2012.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