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語 陽貨 第17 우리말 해석
1. 陽貨가 공자를 만나고자 하였으나 공자께서 만나주지 않자, 공자에게 삶은 돼지를 선물로 보내어 인사차 찾아오게 하였다.
그러자 공자께서도 그가 없는 틈을 타 사례하러 가셨다가 그를 길에서 만났다.
양화가 공자에게 말하였다. “이리 와 보시오. 내 그대와 말좀 해야겠소.
값진 보화를 품고 있으면서 나라의 혼란을 방치하는 것을 仁이라고 할 수 있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렇다고 할 수 없습니다.”
“정치에 종사하기 좋아하면서 자주 때를 놓치는 것을 지혜라고 할 수 있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렇다고 할 수 없습니다.”
양화가 말하였다. “해와 달이 가고 있소. 세월은 나를 위하여 멈추어 주지 않는 법이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알겠습니다. 나는 장차 벼슬할 것입니다.”
2.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의 성품은 서로 비슷하지만 習에 의하여 서로 달라진다.”
3.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오직 상등의 智者와 하등의 愚人은 달라지지 않는다.”
4. 공자께서 武城에 가서 고을 사람들이 거문고를 타고 노래부르는 소리를 들으셨다.
夫子께서 빙그레 웃으며 말씀하셨다. “닭 잡는 데 어찌 소 잡는 칼을 쓰느냐?”
子游가 대답하였다. “예전에 제가 선생님께 들으니
‘군자가 道를 배우면 사람을 사랑하고 소인이 도를 배우면 부리기가 쉽다.’ 하셨습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얘들아, 偃(子游의 이름)의 말이 옳다.
조금 전에 한 말은 농담이었다.”
5. 公山弗擾가 費邑을 근거로 반란을 일으키고 공자를 불렀는데, 공자께서 가시려 하였다.
子路가 기뻐하지 않으며 말하였다. “가실 곳이 없으면 그만이지, 하필이면 公山氏에게 가시려 하십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나를 부르는 자가 어찌 공연히 부르겠느냐. 만일 나를 써주는 자가 있다면 나는 장차 동쪽의 周 나라로 만들어 보리라.”
6. 子張이 공자에게 仁에 대해 물으니,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다섯 가지를 천하에 행할 수 있으면 仁이라 할 것이다.”
자장이 그 내용을 물었는데, 말씀하셨다. “공손함[恭]과 너그러움[寬]과 믿음[信]과 민첩함[敏]과 은혜로움[惠]이다.
공손하면 남이 업신여기지 않고, 너그러우면 민심을 얻게 되고, 미더우면 남들이 의지하게 되고,
민첩하면 功이 있게 되고, 은혜로우면 남들을 부릴 수 있게 된다.”
7. 필힐이 공자를 부르니, 공자께서 가시려 하였다.
子路가 말하였다. “옛날에 제가 선생님께 들었는데,
‘직접 몸으로 善하지 못한 짓을 하는 자의 黨에는 군자가 들어가지 않는다.’고 하셨습니다.
필힐이 中牟를 근거로 반란을 일으켰는데, 선생님께서 가시려는 것은 어째서입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렇다. 그런 말을 한 적이 있다. 그러나 견고하다고 말하지 않더냐?
견고하면 갈아도 닳아지지 않는 법이다. 희다고 말하지 않더냐? 희면 검은 물을 들여도 검어지지 않는 법이다.
내 어찌 조롱박과 같겠는가. 어찌 그처럼 한 곳에 매달린 채 먹지도 못하고 지낼 수 있단 말인가.”
8.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由야, 너는 六言과 六蔽에 대해 들어보았느냐?”
子路가 대답하였다. “아직 듣지 못하였습니다.” “앉거라. 내 너에게 말해 주리라.
仁만 좋아하고 배우기를 좋아하지 않으면 그 폐단은 어리석게 되고[愚], 지혜[知]만 좋아하고 배우기를 좋아하지 않으면
그 폐단은 방탕하게 되고[蕩], 믿음[信]만 좋아하고 배우기를 좋아하지 않으면 그 폐단은 해치게 되고[賊],
정직[直]만 좋아하고 배우기를 좋아하지 않으면 그 폐단은 각박하게 되고[絞], 용맹[勇]만 좋아하고 배우기를 좋아하지 않으면
그 폐단은 어지럽게 되고[亂], 剛한 것만 좋아하고 배우기를 좋아하지 않으면 그 폐단은 경솔하게 된다[狂].”
9.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너희들은 어째서 詩를 배우지 않느냐? 시는 감흥을 불러 일으키게 하고,
물정을 살필 수 있게 하며, 여러 사람들과 어울릴 수 있게 하고, 원망(울분)을 발산할 수 있게 하며,
가까이는 어버이를 섬기고, 멀리는 임금을 섬길 수 있게 하며,
새, 짐승, 풀, 나무의 이름을 많이 알게 한다.”
10. 공자께서 伯魚에게 말씀하셨다. “너는 ≪詩經≫의 周南과 召南을 배웠느냐? 사람이 주남과 소남을 배우지 않으면
마치 담장에 얼굴을 바로 대고 서 있는 것과 같다.”
11.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흔히들 예절, 예절 하는데, 그게 玉이나 폐백을 이르는 것이겠는가.
흔히들 음악, 음악 하는데, 그게 鍾소리와 북소리를 이르는 것이겠는가.”
12.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얼굴빛은 위엄이 있으나 마음이 유약한 것을 소인에게 비유하면 아마도 벽을 뚫고 담을 넘는 도둑과 같다 할 것이다.”
13.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시골의 근후한 척 하는 자들은 德을 해치는 도적이다.”
14.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길에서 듣고 길에서 말해 버리면 德을 버리는 것이다.”
15.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비열한 사람과 함께 임금을 섬길 수 있겠는가. 부귀를 얻지 못했을 때는 얻으려고 걱정하고, 얻고 나서는 잃을까봐 걱정하니,
진실로 잃을까봐 걱정한다면 못하는 짓이 없게 된다.”
16.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옛날에는 백성들이 세 가지 병폐가 있었는데, 지금은
그마저도 없어졌구나. 옛날의 뜻이 높은 사람들은 작은 예절에 구애받지 않는 병폐가 있었는데,
지금의 뜻이 높은 사람들은 방탕하기만 하고, 옛날의 꼿꼿한 사람들은 모난 행동을 하는 병폐가 있었는데,
지금의 꼿꼿한 사람들은 화를 내며 잘 다투고, 옛날의 어리석은 사람들은 고지식한 병폐가 있었는데, 지금의 어리석은 사람은 간사할 뿐이다.”
17.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말이나 듣기 좋게 하고 가식적인 얼굴로 비위를 맞추는 사람치고 仁한 사람은 적다.” 하셨다.
18.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間色인 자주색이 正色인 빨강색의 빛을 빼앗는 것을 미워하며, 鄭 나라의 음란한 음악이 雅樂을 어지럽히는 것을 미워하며,
말재주로 나라를 전복시키는 것을 미워한다.”
19.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말을 하지 않으련다.” 子貢이 말하였다. “선생님께서 말씀을 안 하시면 저희들이 무엇을 傳述한단 말입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하늘이 무슨 말씀을 하더냐.
사계절이 운행하고 만물이 생장하는 것으로 보여줄 뿐, 하늘이 무슨 말씀을 하더냐.”
20. 孺悲가 공자를 뵙고자 하였는데, 공자께서는 병을 핑계로 사절하시고,
명을 전하는 자가 문을 나가자, 瑟을 가져다 연주하며 노래를 불러 그에게 듣게 하셨다.
21. 宰我가 물었다. “부모의 三年喪은 1주년만 하더라도 너무 오래하는 것 같습니다.
군자가 3년 동안 禮를 행하지 않으면 禮가 반드시 무너질 것이며,
3년 동안 음악을 행하지 않으면 음악이 반드시 무너질 것입니다.
묵은 곡식이 다하고 햇곡식이 나오며, 불씨 만드는 나무도 새로 바뀌니,
1년으로 끝내는 것이 좋겠습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상중에 쌀밥을 먹고 비단옷을 입는 것이 네 마음에는 편안하냐?”
재아가 대답하였다. “편안합니다.” “네 마음이 편안하면 그리하려므나.
군자가 喪中에 있을 때는 맛난 것을 먹어도 달지 않고
음악을 들어도 즐겁지 않으며, 편히 거처해도 마음이 편안하지 않기 때문에 하지 않는 것인데,
지금 네 마음이 편안하면 그리 하려므나.” 재아가 밖으로 나가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재아는 仁하지 못하구나.
자식이 태어나서 3년이 지난 뒤에야 부모의 품을 벗어나므로
삼년상이 천하의 공통된 상례가 된 것이다.
재아는 그 부모에 대한 3년의 사랑이 있기나 한 것인가.(재아도 부모의 품에서 3년의 사랑을 받았겠지.)”
22.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배불리 먹고 하루를 보내면서 마음 쓰는 데가 없다면 어떤 것도 이루기 어렵다.
장기나 바둑이라도 있지 않은가. 그거라도 하는 것이 안하는 것보다는 나을 것이다.”
23. 자로가 말하였다. “군자가 용맹을 숭상합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義를 으뜸으로 삼는다.
군자가 용맹만 있고 의가 없으면 난을 일으키고,
소인이 용맹만 있고 의가 없으면 도적이 되는 것이다.”
24. 子貢이 말하였다. “군자도 미워하는 것이 있습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미워하는 것이 있다.
남의 단점을 말하는 자를 미워하며, 아랫자리에 있으면서 윗사람을 비방하는 자를 미워하며,
용맹만 있고 예의가 없는 자를 미워하며, 과감하기만 하고 융통성이 없는 자를 미워한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賜야, 너도 미워하는 것이 있느냐?” “남의 일을 엿보아 아는 척하는 자를 미워하고,
불손한 것을 용맹으로 여기는 자를 미워하고, 남의 비밀을 폭로하면서 정직하다고 여기는 자를 미워합니다.”
25.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여자와 소인은 다루기가 어렵다. 가까이 하면 불손하고
멀리 하면 원망한다.”
26.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나이 40이 되어서도 世人의 미움을 받는다면 그것으로 끝이다.”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 명구 100선 (0) | 2017.03.17 |
---|---|
憲問 第十四 (2) 제24장~제47장 해설 (0) | 2015.11.20 |
論語 憲問第十四 (1) 제1장~제23장 해설 (0) | 2015.11.20 |
堯曰 第21 우리말 해석 (0) | 2015.11.20 |
옹야 ~ 자로 (본문 해석) (0) | 2015.10.20 |